2023년 2월 4일 토요일

우리가 그 피를 인하여 의롭다 하심을 얻었은즉 더욱 그로 말미암아 진노하심에서 구원을 얻을 것이니

  

 

칭의(稱義)의 결과 3

 

성 경: [5:9-11] 그러면 이제 우리가 그 피를 인하여 의롭다 하심을 얻었은즉 더욱 그로 말미암아 진노하심에서 구원을 얻을 것이니

10) 곧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에 그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으로 더불어 화목되었은즉 화목된 자로서는 더욱 그의 살으심을 인하여 구원을 얻을 것이니라

11) 이뿐 아니라 이제 우리로 화목을 얻게 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 안에서 또한 즐거워하느니라.

 

 

[5:9] 그러면 이제 우리가 그 피를 인하여 의롭다 하심을 얻었은즉 더욱 그로 말미암아 진노하심에서 구원을 얻을 것이니

 

본절은 6절과 8절 내용의 연속이나 좀 더 자세하고 진일보한 면을 갖는다.

 

6절에서는 '우리가 연약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경건치 않은 자를 위하여 죽으셨도다'고 하셨고,

 

8절에서는 '우리가 죄인이었을 때에 하나님께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다'고 하였다.

 

이제 본절에서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시기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해 주신 내용을 구체적으로 말하고 있다.

 

 

그러면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

주로 '그런즉' 또는 '그러므로'라고 개역 성경에 번역되었다.

 

(1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

 

4:9-10 그런즉 이 복이 할례자에게냐 혹은 무할례자에게도냐 무릇 우리가 말하기를 아브라함에게는 그 믿음이 의로 여겨졌다 하노라

10) 그런즉 그것이 어떻게 여겨졌느냐 할례시냐 무할례시냐 할례시가 아니요 무할례시니라,

 

16 그러므로 상속자가 되는 그것이 은혜에 속하기 위하여 믿음으로 되나니 이는 그 약속을 그 모든 후손에게 굳게 하려 하심이라 율법에 속한 자에게뿐만 아니라 아브라함의 믿음에 속한 자에게도 그러하니 아브라함은 우리 모든 사람의 조상이라,

 

22 그러므로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졌느니라).

 

본절에서는 앞절의 설명과 연결짓기 위해 유도된 접속사의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다음에 이어지는 구절이 이유를 나타내는 분사 구문이기 때문이다.

 

또한 ''은 앞에서 말한 바에서 한층 논리가 진전됨을 암시한다.

 

우리가 그 피를 인하여 의롭다 하심을 얻었은즉 4:25에서는

그리스도의 부활과 칭의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나,

 

(4:25 예수는 우리 범죄함을 위하여 내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심을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본절은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대속(代贖)에 대한 설명이다.

 

4:25은 부활을 통해 '생명을 주는 영'이 되신 그리스도가

칭의의 근원이라는 진술이며,

본절은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으심이 칭의의 근거라는 진술이다.

 

이러한 사실은 '그 피를 인하여'라는 표현에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 문구는 헬라어로 '엔 토 하이마티 아우투'이며

이를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그의 피 안에서'이다.

 

여기서 바울이나 전치사 '디아'를 사용하지 않고 ''을 사용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디아''....을 통하여'(throught)라는 방법, 수단의 의미를 지니나

'''어떤 사물이나 사람의 상태, 조건'을 나타내는 포괄적 의미를 갖는다.

 

특히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엔 크리스토),

'주 안에서'(엔퀴리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엔 크리스토 예수)등의

독특한 표현을 사용할 때 '디아'를 썼다.

 

본절에서 '디아'의 사용은,

그리스도의 보혈에는 대속적 능력이 있어 죄인들을 의롭게 하는 근원이 될 뿐만 아니라

한번 의롭다 함을 얻은 자들을 계속 다스리시고 역사하시는

권세와 능력이 있음을 함축한다.

 

성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써 의롭다 하심을 얻게 되었으며,

이후에도 그리스도의 피의 권세와 능력의 작용을 받아

계속하여 성화의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절의 '그 피를 인하여 의롭다 하심을 얻었은즉'

1절의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은즉'이라는 표현과 비교가 된다.

두 구절은 상호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1절에서는 의롭다 하심을 얻음에 있어

인간 편의 책임과 의무로서의 믿음이 강조되었고,

본절에서는 의인(義人)의 근거로서의 하나님의 대속적 피 흘림이 강조된 것이다.

 

 

더욱 그로 말미암아 진노하심에서 구원을 얻을 것이니 - 그리스도의 죽으심으로 인한

진노하심에서의 구원이 칭의를 위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 여기서의 '칭의'는 재판관에 의해 무죄 선고를 받아

벌을 면하게 되는 법정적인 차원의 ''라고 단정 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본절에서는 그리스도가 죄인된 인간과 진노하시는

하나님 사이에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 뜨리는

'화목 제물'(propitiation)이 되셨다는 의미가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 '더욱'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폴로 말론'으로서 비교법 강조의 의미를 지닌다.

즉 본절에서 '폴로 말론'은 단순히

'더욱'이란 의미가 아니라 '훨씬 더', '더욱더'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 말은 그리스도의 대속적 피흘림이

칭의보다 더 확실하고 분명한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내고 있다는 뜻이다.

 

 

 

[5:10] 곧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에 그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으로 더불어 화목되었은즉 화목된 자로서는 더욱 그의 살으심을 인하여 구원을 얻을 것이니라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 - 이 표현은 '우리가 연약할 때에'(6),

또는 '우리가 죄인 되었을 때'(8)란 의미보다

인간이 하나님을 떠나 있을 때에 형성되는 하나님과의 단절된 관계를

보다 명확하고 적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심을 이루는 단어 '원수'(에크드로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님을 향해 적개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는

능동적 의미를 갖는다는 견해(Lightfoot)

 

'하나님이 원수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수동적 의미를 갖는다는 견해가 있다.(Murray, Harrison).

 

두 가지 견해는 서로 상충되는 것이 아니며 모두 일면 타당성을 갖는다고 본다.

그러나 어느 한쪽만을 주장한다면 다른 일면을 소홀히 하는

자가당착(自家撞着)에 빠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원수'를 하나님께 대한 인간의 범죄성의 측면에서만 이해한다면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하심을 놓쳐버리게 되며,

또한 '원수'를 인간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와 진노하심에서만 이해한다면

죄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간과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양자의 견해를 모두 포괄해야 할 것이다.

 

 

그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으로 더불어 화목되었은즉 하나님과

죄인된 인간이 화목(和睦)될 수 있었던 근거는 물론 '칭의'이다.

 

'칭의'가 없이는 하나님과 인간의 화목은 있을 수 없다.

 

공의로우시고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죄의 상태에 머무르는 자에게는 진노의 채찍을 내리시나,

의롭다 칭함을 받은 자에게는 하나님과 화목한 관계에 들어갈 수 있도록 은혜를 내리신다.

 

바울이 이처럼 화목을 강조하는 것은

'화목' 자체가 하나님의 측량할 수 없는 사랑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바울이 고후 5:18에서 언급하기를,

 

(고후 5:18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서 났으며 그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주셨으니)

 

하나님께서 성도에게 '화목케하는 직책'을 주셨다고 할 때에,

이 직책이란 물론 죄악된 세상과 하나님을 화목케 하는 제사장적 직분이지만,

 

(벧전 2:9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좀 더 포괄적인 의미로는 '하나님의 사랑을 선전하는 직책'이다.

 

 

화목된 자로서는 더욱 그의 살으심을 인하여 구원을 얻을 것이니라 - 상반절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화목에 대하여 진술한 반면,

본 구절에서는 그리스도의 부활과 화목에 대하여 진술하고 있다.

 

그러면서 그리스도의 죽음보다 그리스도의 부활이

죄인된 인간의 구원과 화목에 있어 더욱 확실한 보증이 됨을 역설하고 있다.

 

그 이유는

 

(1) 그의 부활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는

자기를 따르는 무리에게 부활을 확증시켜 주셨으며,

 

(2) 그의 부활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부활 생명이

그를 믿는 성도들에게 공급되므로 성도는 그 생명으로써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되고 하나님의 후사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바울은 고전 15장에서 그리스도의 죽으심보다

부활을 더욱 강조하게 된 것이다.

 

이는 하나님과 죄인된 인간과의 화목을 이루는 주체가 하나님이시며

또한 구원을 이루시는 분도 하나님이심을 드러낸다.

 

칭의와 화목, 그리고 구원은

인간의 공로나 업적과는 상관없이

오직 하나님의 아들의 죽으심과 부활로 말미암은 것이다.

 

(3:25-28 이 예수를 하나님이 그의 피로써 믿음으로 말미암는 화목제물로 세우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길이 참으시는 중에 전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려 하심이니

26) 곧 이 때에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사 자기도 의로우시며 또한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 하려 하심이라

27) 그런즉 자랑할 데가 어디냐 있을 수가 없느니라 무슨 법으로냐 행위로냐 아니라 오직 믿음의 법으로니라

28)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

 

 

 

[5:11] 이뿐 아니라 이제 우리로 화목을 얻게 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 안에서 또한 즐거워하느니라.

 

화목을 얻게 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 '화목을 얻게 하신'이란 표현은

지금까지 바울 자신이 설명했던 '칭의', '진노하심에서의 구원',

그리고 '구원'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해도 별 무리가 없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모든 과정이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하나님 안에서 또한 즐거워하느니라 - 여기서의 '즐거워하다'(카우코메노이) 이 동사는

'자랑하면서 즐거워하다'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exalt, MB).

 

그러면 본절에서 의미하는 '즐거움'은 구체적으로 어떤 즐거움인가?

 

이에 대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구속(救贖)의 은혜를 입은 자들의 즐거움이다.

죄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었던 자들이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지심으로 말미암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고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게 되었으며

영생을 소유하게 되었으니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것은 당연하다.

 

둘째로, 영원한 소망을 바라는 즐거움이다.

바울은 2절에서 이 즐거움을 언급했으며

본서의 다른 구절과 고린도후서에서도 수차례 언급하고 있다.

 

8:18에서는

 

"생각건대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족히 비교할 수 없도다"고 하였고

 

8:24에서는

 

"우리가 소망으로 구원을 얻었으매 보이는 소망이 소망이 아니니 보는 것을 누가 바라리요"라고 하였으며,

 

고후 5:1에서는

 

"집이 무너지면 하나님께서 지으신 집 곧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요 하늘에 있는 영원한 집이 우리에게 있는 줄 아나니"라고 하였다.

 

셋째는, 참된 즐거움이다.

현재 이 세상에서 우리가 누리는 즐거움은 일시적이요

가변적이며 또한 거짓되고 기만적이나 그 근원과 이유를 하나님께 둔 즐거움은

영원한 즐거움이요 보증이 있는 즐거움이기에 참되다.

 

이에 대해 칼빈(Calvin)은 말하기를,

 

'하나님은 만물의 근원이요 축복 그 자체이시므로

우리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목함으로써

아무것도 부족할 것이 없는 행복을 누리게 된다'라고 하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