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의 흠점(欠點)에 대하여
바울은 이상(理想)의 사람은 아니다. 그에게 많은 흠점이 있었다.
그는 나의 좋은 교사요, 신앙의 형제요, 또 친구이다.
하지만 그는 나의 구주는 아니다. 나는 바울을, 도마가 예수를 부른 것 같이 ‘나의 하나님이여’라고 부를 수는 없다.
나는 예수를 숭배하고 바울을 경애한다. 바울은 나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해 주었다.
그러나 그는 그리스도는 아니다.
‘아아, 나는 괴로운 사람이로다, 이 죽음의 몸에서 나를 구원하실 이는 누구랴’고 외친 바울은 역시 죄의 사람으로서, 완전한 하나님의 아들은 아니었다.
바울에게 많은 흠점이 있었다. 그것은, 사도행전에 의하거나, 또 그가 남긴 서간에 의해서도, 분명하다.
하지만, 그에게 흠점이 있었던 것이, 그에 대한 나의 동경을 일으킨다.
나는 이것에 의해 그가 내 형제임을 안다. 그리고 또 그를 구원한 도가 나를 구원하는 도임을 안다.
뿐만 아니라, 사람의 모자라는 곳(지점)은 도리어 그의 특히 우수한 점(장점)을 보여준다. 속담에 말하는 대로이다.
‘사람의 과실을 보아 그의 인(덕)을 안다’는 것이다.
사람의 흠점은 종종 그 미점(美點)을 엿볼 수 있는 길로 된다.
바울의 흠점을 아는 것은, 그를 아는 데 있어서의 가장 좋은 길의 하나이다.
그리고 사실을 전하는 데 오류가 없는 성서는, 바울에 대해서도 역시 적지 않은 흠점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 명백한 것의 하나는, 고린도전서 9장 15절에 기록된 그의 말이다.
그는 복음을 전파하는 자는 복음에 의해 생활함의 권리 있음을 몹시 길게 말한 후에 말했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일(권리)은 하나도 쓰지 않았다. 또 그렇게 해달라고 이것을 써 보내는 것 아니다. 그것은 내 자랑하는 바를 사람에게 헛되이 여김 받기보다는 오히려 죽는 것이 내게 좋은 일이기 때문이다’라고.
이것은 몹시 격렬한 말이다. 만약 지금의 전도사가 그러한 말을 했다면, 그는 다소나마 과격극단으로서 평되었으리라.
바울은 여기서 말한 것이다.
‘전도사에게 전도에 의해 생활함의 권리가 있다.
곡물을 빻는 소라도, 입에 망을 씌움 없이, 빻으며 곡물을 먹음의 자유가 주어져 있는 것 아닌가?
하물며 전도사에 있어서랴!
하지만 나는 이 권리를 쓰지 않는다.
나는 스스로 일하여, 생활의 일에 있어서는 독립전도사이다.
나는 복음을 전파하는데, 사람으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일 없이 그리스도의 복음을 얻게(받게) 한다.
이는 나의 상급 또는 자랑이다.
그리고 나의 이 자랑을 사람에게 헛되이 여김 받기보다는 죽는 것은 오히려 내게 좋은 일이다’라고 한 것이다.
짧은 말로서 바꾸어 말한다면,
‘내 독립을 잃기보다는, 나는 차라리 죽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이것은 과연 겸손하고 종순해야 할 그리스도 신자의 할 수 있는 말 일는지?
생활의 독립은 그렇듯 귀한 것일지?
바울 자신이 바로 앞에, 전도사는 전도사에 의해 생활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지 않았는가?
그런데 자기 주장한 것을 곧 뒤엎어버리고, 자기만은 이 권리를 쓰지 않는다 하고, 그 위에 이 권리를 쓰기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택한다는 것이다.
이는 커다란 자가당착으로서, 사람의 교사된 자가 결코 입에(말로) 할 수 없는 듯이 보인다.
마치 일본 무사가 ‘수치를 당하기보다는 죽음만 같지 못하다’고 함 같은 것으로서, 가령 그 의지(의지)는 가상할 만 하다해도, 그 태도는 결코 칭찬 할 바의 것은 아니다.
실로 자가당착이다. 바울은 여기서 그의 억지 기질(고집성)을 나타내고 있다 할 수가 있다. 이 말로서 나타난 사도바울은 결코 온량 원만한 군자는 아니었다.
그러나 그의 사람됨(성질)을 엿볼 수 있지 않는가! 바울은 그러한 사람이었던 것이다.
타인의 권리는 열심히 이것을 변호했으나, 자신은 이것을 이용하기를 꺼려 주저했던 것이다.
권리는 권리이다. 하지만 이것을 쓰는 것도 자유, 쓰지 않는 것도 자유이다.
사람에게는 모든 권리 위해 자유의 권리가 있다.
받아야 할 것을 받지 않는 것도 역시 귀한 권리이다.
그리고 로마의 시민권을 가지고 독립을 자랑한 다소의 바울은, 그의 전도 생활에 있어서도 의뢰 생활에는 견딜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는 의뢰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원했던 것이다.
그가 그리스도의 사랑에 강권되어 전도에 종사하도록 부득하게 된 때에, 그는 복종과 함께 기원을 진술하여 말했으리라.
‘주여 나는 전도에 종사합니다.
그러나 다만 한 가지를 허락하여 주옵소서.
생활의 일에 대해서는 나에게 독립을 허락하여 주옵소서.
전도에 의해 생활하는 권리만은, 이것을 당신께 봉환하도록 허락하여 주옵소서’라고.
그리하여 그는 종생 자활전도를 실행했다.
때로는 물론 신자에게서 사랑의 선물을 받고 말로 다할 수 없는 감사를 표했으나, 그러나 생활의 일에 있어서는 그는 끝까지 독립 전도사였다.
그는 에베소의 신자를 고별하는 때에 말했다.
‘내가 남의 금은 의복을 바란 일(탐한 바) 없다. 내 이 손이, 나와 함께 있는 자의 필요물을 준비한 것은, 너희가 아는 바이다’(사도행전 20:33-34)라고.
자기의 손을 펴서 ‘이 손이’라고 했다.
이 손으로 생활하면서 전도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독립의 명예를 손상 받기보다는 죽는 편이 오히려 내게 좋은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고귀한 바울이여, 나는 당신을 사랑 합니다’고 나는 말하고 싶어진다.
독립을 과중히 여기는 것은 흠점이라고 할 수 있으나,
세상에는 의뢰하는 것을 만족해 하는 전도사가 지나치게 많아,
이것 때문에 복음이 무수히 욕 받는 것을 생각하는 때에,
바울의 독립과중이 결코 나쁜 일 아님을 안다.
이것은 흠점이라 해도, 사랑할만한 좋은 흠점이라고 생각한다.‘
바울의 흠점의 제2는,
고린도전서 16장 8, 9절에 보여 있다. 이르기를,
‘내가 오순절 까지는 에베소에 있으련다. 그것은 넓고 또는 유효한 문이 열려 내 앞에 있고, 또 대적하는 자도 많기 때문이다’라고.
이것은 보통 사람이 볼 때 이상한 변명(구실)이다.
‘나는 좀 더 잠시 에베소에 머물련다. 그것은 크게 성공을 가져올 가망 있는 문이 내 앞에 열릴 것이기 때문이다’라는 것은 누구에게도 이해된다.
하지만 ‘대적이 많기 때문에 떠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이상하다.
이것은 고집일 것 밖에 없다. 예수는 제자들에게 가르쳐 말씀하셨다.
‘이 성에서, 사람이 너를 핍박하면, 다른 성으로 피하라’(마태복음 10:23)고.
대적은 이것을 피하라고 하시는 것이다. 그런데 바울은 여기서
‘대적이 많기 때문에 나는 에베소를 떠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스도 신자의 종순성을 결여한 것 같이 보여, 지금의 선교사들의 눈으로 볼 때, 아주 온당치 못한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바울의 바울인 점(까닭)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독립을 사랑한 그는 또 어느 정도의 저항을 좋아(사랑)했다, 그는 경우에 의해서는 퇴각하나, 적 앞에 퇴각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로마의 시민권을 가진 그에게 로마인의 무사기질이 있었다. 로마의 무사는 말했다.
Vivere
est militare.(사는 것은 싸우는 것이다)라고.
바울도 어떤 종류의 전투를 (좋아)사랑했다.
‘대적이 많기 때문에 떠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늘의 많은 전도사가 하듯,
‘대적이 많기 때문에 떠난다’는 것은 아니다.
대적이 근절된 후에는 떠난다.
그러나 대적이 있는 동안은 떠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로 용감스러운 구실(변명)이다. 흠점이라면 흠점이다.
하지만 독립 과중이 여김과 마찬가지로, 귀히 여겨야 할 사랑스러운 흠점이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복음을 의탁 받고 로마제국에 전도하여 조금도 물러서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자기 한 사람 편이 로마 전제국보다도 강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적이 많은 것을 도리어 기뻐했던 것이다.
대담부적(무적)의 바울이여라고 하고 싶어진다.
이 원기가 있었기에 그는 종생 싸우고도 지치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오늘 보는 바와 같은 연약한 전도사는 아니었다.
그는 조금도 철군으로서 적에 대하지 않았으나, 대적 앞에서 도망치는 짓은 하지 않았다.
그는 athletic preacher (운동가인 전도사)였다.
나는 이 흠점이 있기 때문에 그를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바울의 제3의 흠점은
이것을 사도행전 16장 12절 이하에서 볼 수가 있다.
그는 실라와 함께 빌립보 성에서 옥사에게 던져져, 많은 견디기 어려운 능욕을 받았다.
그러나 하나님의 기적에 의해 구출되고, 마침내 자유의 몸 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는 곧 빌립보를 떠나지 않았다. 떠나기 전에 그는 하나의 장난을 했다. 그는 그가 가진 로마 시민권을 써서 시장을 곤경에 빠뜨리고, 그로 하여금 전시를 대표하여 사죄케 하고서, 그런 후에 유유히 떠났다.
37절 이하에 이르기를
‘바울이 그들에게 말하기를, 나는 로마 사람인데, 죄를 정하지 않고서 공연히 나를 매질하고, 또 옥에 넣었다.
그리고 이제 은밀히 우리를 내 보내려 하는가? 옳지 않다. 그들(하리)이 직접 와서 우리를 내 보내도록 하라고.
하리가 이 말을 상관들에게 고하니, 그들이 그가 로마인임을 듣고서 두려워하여 와서 그들에게 여기서 나오기를 원하고, 드디어 그들을 데려 내다가 그 성을 떠나도록 원했다.
두 사람이 옥을 나와서 루디아의 집으로 가서, 형제들을 만나고, 이들에게 권면한 후 떠나갔다’고.
이것은 복음의 전도사로서 하지 않아도 가한 일이다. 악으로서 악을 갚지 말라는 것이므로, 빌립보의 관리들의 모욕에 대해 다만 사랑으로서 이에 갚고, 그를 위해 기도하고서 고요히 떠나가면 좋을 것이다.
하지만 바울은 그것으로서는 부족을 느꼈다. 그는 좀 관리들을 눌러주고 싶었다. 그러므로 그가 가진 로마의 시민권을 써 (그는 아마도 몸에 휴대한 증서를 꺼내서 보였으리라) 관리들을 곤경에 처하게 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로 하여금 그의 앞에 무릎 꿇고서 사과케 하고, 그런 후에 활개 치면서 옥문을 나셨던 것이다.
짓궂은 사람 바울이다. 그는 그리스도교의 전도사로서는 해서 안 될 일을 했다고 많은 사람은 말하리라.
나는 생각한다, 그는 이때 회심(만족)의 웃음을 가득히 띄우고, 동반의 실라를 돌아다보면서 ‘통쾌’를 삼호했으리라고.
이는 분명히 장난이다. 그러나 해 없는 장난이다. 만약 바울이 곤장으로 맞기 전에 그의 로마의 시민권을 과시했다면, 그의 비 그리스도교적 행위를 비난해도 좋으리라만, 그러나 때릴 만큼은 때리게 하고서, 그런 후에 그의 권리를 주장한 것이므로, 그 점에 있어서 그가 한 일에 비난 할 바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무해의 장난으로서, 전도사도 때로는 이 정도의 장난을 해도 좋으리라고 생각한다.
전도는 진지한 사업인데, 그러나 때로 해학으로서 얼마쯤 이것을 완화함의 필요가 있다.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휴모어(유-머)이다. 세상에 귀한 것치고 성실한 사람의 신중한 웃음 같은 것은 없다.
성실이 녹아 (부드러운) 웃음으로 되어 나타난 것, 그것이 휴모어이다.
모든 위인에게 휴모어가 있었다.
크롬월에게 있었다.
링컨에게 지나칠 정도로 있었다.
죤슨이라든가 칼라일에게 많이 있었다.
바울에게 없을 리는 없다. 그리고 있었다고 나는 믿는다.
빌립보에 있어서 그가 한 것이 그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나는 여기서 바울의 인간미를 보고 기뻐한다.
바울은 나의 가까이 할 수 없는 사람은 아니었다. 나는 실라에게 대신하여 그의 전도여행에 동반했으면 한다.
바울은 빌립보에서 한 장난보다도 좀 짓궂은 장난을 예루살렘에서 했다.
그것은 그가 신앙으로 인하여 산헤드린에서 재판된 때였다.
일은 사도행전 23장 1-10절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바울은 그를 재판하는 자의 반이 사두개파의 사람이고 반은 바리새파의 사람임을 알아차리자, 그는 의회에서 외쳐 말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