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31일 일요일

어떤 사마리아 사람은 여행하는 중 거기 이르러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착한 사마리아 사람의 이야기

 

누가복음 1025-37어떤 율법교사가 일어나 예수를 시험하여 이르되 선생님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26) 예수께서 이르시되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었으며 네가 어떻게 읽느냐

27) 대답하여 이르되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

28)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대답이 옳도다 이를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 하시니

29) 그 사람이 자기를 옳게 보이려고 예수께 여짜오되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니이까

30)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를 만나매 강도들이 그 옷을 벗기고 때려 거의 죽은 것을 버리고 갔더라

31) 마침 한 제사장이 그 길로 내려가다가 그를 보고 피하여 지나가고

32) 또 이와 같이 한 레위인도 그 곳에 이르러 그를 보고 피하여 지나가되

33) 어떤 사마리아 사람은 여행하는 중 거기 이르러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34) 가까이 가서 기름과 포도주를 그 상처에 붓고 싸매고 자기 짐승에 태워 주막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 주니라

35) 그 이튿날 그가 주막 주인에게 데나리온 둘을 내어 주며 이르되 이 사람을 돌보아 주라 비용이 더 들면 내가 돌아올 때에 갚으리라 하였으니

36) 네 생각에는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

37) 이르되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하시니라.

 

'여기 한 교법사가 있다. 서서 그(예수)를 시험하여 말하기를

스승이여 제가 무엇을 하면 영생을 받으리이까'(10:25일역)

 

'교법사'(율법교사)란 법학자입니다.

그리고 당시의 유대국의 법률이라고 하면,

구약성서에 보존된 모세의 율법이었으므로,

법학자라고 하면 물론 성서학자였습니다.

모세율의 연구 및 적용에 몸을 맡긴 자입니다.

 

'학자'라고 하는 것과는 조금 틀립니다.

학자는 주로 문자의 연구자였습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2자의 상위는 근소합니다.

 

'서서'(한글역-나아와) 회중 가운데 서서.

이 질문은 아마도 회당에서 행해졌을 것입니다.

 

'시험하여' 예수의 학력을 시험하고자 이 질문을 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를 죄에 빠뜨리려는 간책은 아니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예수의 답변이 그것을 보여 줍니다.

 

'스승이여' 선생이여.

 

'제가 무엇을 하면' 무엇을 할 것이면.

제가 행하여?

이로 말미암아 영생을 받기에 족한 사업 있을지요.

자신일지, 전도일지, 교육일지?

세상에서 무언가 이것을 행하여 영구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사업 있을지?

 

'하면',

 

행하여 끝마치고 그 보수로서의 뜻입니다.

 

'영생' - 임하려는 메시야의 나라에 있어서의 행복.

당시에 유대인이 하나님께서 내려주시는 최상최대의 은혜라고 믿은 것.

 

'받으리이까' 계승할 것인지요. 권리로서 향유할 것인지요?

 

'예수 대답하여 말씀하시기를,

율법에 기록된 것은 무엇인가 너는 그것을 어떻게 읽는가?'(26일역)

 

예수 대답하여 말씀하신 것은,

내가 네게 답할 것도 없다. 너는 법학자이다.

네가, 질문으로 하는 모세의 율법은

이 일에 대하여 네게 무엇이라고 가르치는지?

너는 성서에 있어서 이것에 대하여 어떻게 읽는지?

 

'너는 어떻게 읽는가'란 성서의 말씀은 어떤 가고 하는 말과 같은 것입니다.

 

옛 유대인은 지금의 어떤 종류의 그리스도신자처럼,

어떤 문제를 만나면,

반드시 이것을 증명하는 성서의 말씀을 인용했습니다.

 

그러므로

 

'너는, 어떻게 읽는가',

 

그들이 의논을 할 때(논쟁 시) 서로에 대하여 언제나 발한 말이었다는 것입니다.

 

'대답하여 말하기를, 네 마음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고,

힘을 다하고, 생각을 다하여, 주 너희 하나님을 사랑하라.

또 자기 같이 이웃을 사랑하라'(27일역)

 

법학자는 곧 성서의 말씀을 인용하여 대답했습니다.

 

그 제일은, 이것을 신명기 65절 및 동 1113절에서,

2, 이것을 레위기 1918절에서 인용했습니다.

 

성서에 자세한 법학자는, 성서의 인용은 손바닥을 뒤집는 것처럼 용이했습니다.

 

너는, 전신전력을 다하여 주 너희 하나님을 사랑하라.’ 이것이 제1의 훈계였습니다.

 

'자기 같이 이웃을 사랑하라' 이것이 제2의 훈계였습니다.

 

'예수께서 말씀하시기를, 네 대답, 옳다. 이것을 행하면 살리라'(28일역)

 

'네 대답, 옳다' 너는 정당하게 대답했다.

 

'이것을 행하면 살리라' 이것을 행할 것이다. 그러면 나는 살 것이다.

 

법학자의 물음에 대한 예수의 대답은 이것이었습니다.

네가 말하고 있는 훈계를 행할 것이다.

 

다만 이것을 입으로 말하는데 그치지 말고,

다만 이것을 사람에게 가르치는데 그치지 말고,

이것을 행하도록 하라.

 

언제나 계속하여

이것을 행하도록 하라(원어는 현재 동사로서, 이 의미가 있음).

그리하면 너는, 지금 곧 살리라는 것입니다.

 

학자는 장래에 올 메시야국에 있어서 행복 받을 자격에 대해 물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는,

대세를 기다리지 않고서 현세에 있어서 지금부터 사는 길을 전했습니다.

 

예수의 가르치심에 따르면,

영생은 결코 뒤에 미래의 세계에 있어서 주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금세에 있어서 곧 이것을 받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법학자는, 어떻게 대사업을 할 것이면

그 보상으로서 영생을 받을 것인지를 물었습니다.

 

예수는 이에 대하여 '애인 애인'(애신애인)의 보통 도덕을 행하라.

그리하면 지금부터 곧 '살 것이다'라고 대답하셨습니다.

예수에게 있어서는 영생을 받기에 족한 대사업이란 없었던 것입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사람을 사랑하는 일,

그것이 생명이었습니다.

 

세상이 보통 도덕이라 하여 하찮게 여긴 것,

그것이 예수에게 있어서는 최대 도덕이었습니다.

 

사람은 영생을

내세에 있어서 바랐음에 대신하여,

예수는 지금으로 시작하는 생명을 말씀하셨습니다.

 

법학자는 학자이면서

영생이 무엇인지,

이것을 받는 길이 무엇인지를 조금도 몰랐습니다.

 

그는 예수에게 질문을 걸어 의외의 대답에 접했습니다.

하지만 이외이기는 했으나,

그것이 참임을 부정할 수는 없었습니다.

 

'저가, 자신을 죄 없는 자로 보이려고 예수께 말하기를,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29일역)

 

법학자는 예수의 대답이 간단하고 투명한데 어안 벙벙해 졌습니다.

그는 그런 것은 다 알만한 것을 물었다고 생각하여,

스스로 불쾌해졌습니다.

그러나 그도 학자로써 자처하는 자입니다.

이것만으로 굴복하고 그 앞을 물러날 수는 없습니다.

그래 다시 일문을 시도했습니다.

 

'자신을 죄 없는 자로 보이려고',

 

아마도 오역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는 여기서 자신의 죄를 감싸려고 한 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그는 학자였습니다.

예수 같은 평신도에게 설복 되어, 아주 서글프게 느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을 옳은 자로 보이려고',

 

즉 그러한 단순한 질문을 제출한 자기의 천박을 감싸기 위해,

다시 질문을 계속한 것입니다.

 

'내 이웃이란 누구입니까'.

 

그는 이 이 물음을 걸어,

다시 예수의 학력을 시험함과 동시에,

중인(衆人) 앞에서의 학자인 자기의 체면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예수 대답하여 말하기를,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는 때,

강도를 만났다. 강조는 그 의복을 벗기고 이를 때려,

죽게 되도록 하고 갔다'(30일역)

 

예수는 이 질문에 접하여,

앞서와 같이 성서의 말씀에 호소하여 대답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에 대신하여 하나의 사실담을 말했습니다.

 

이것이 즉 유명한 '착한 사마리아인의 이야기'입니다.

이것은 비유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묘사가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지어낸 이야기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그 당시에 있었던 사실로서,

예수는 이것을 듣고서, 설교의 좋은 재료로 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어떤 사람' 어떤 유대인,

 

'예루살렘에서 여리고'

 

거리는 불과 20마일(32)이지만도,

길은 단애절벽(낭떠러지 precipice) 사이를 누비며,

강도의 소굴에 알맞고, 그 출몰에 편리한 곳입니다.

 

그러므로 오늘에 이르러도 여전히

이곳에서 강도, 강탈자(a highwayman)의 난을 만나는 일은 그치지 않습니다.

1820년에 영국의 귀족 F. 헬리카라는 사람도 역시

이 길에서 강도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

 

'그러한 때, 어떤 제사장, 이 길로 내려가다가, 이것을 보고 그저 지나갔다'(31일역)

 

'그러한 때

이때 마침.

 

'어떤 제사장' 동국(同國)인이고, 더구나 종교의 직무를 보는 제사장,

 

'이것을 보고 그저 지나갔다' 그를 보면서 지나갔습니다.

 

마음에 다소의 동정하는 생각을 가졌을 것이지만,

실제로 도우려 하지 않고서, 그를 피하여 지나갔습니다.

 

그리고 주의하시라. 그는 제사장이었다고.

 

'또 레위인도 여기 이르러, 나아가 보고, 한가지로 지나갔다'(32일역)

 

'레위인' 제사장 아래서 성전에 봉사하는 사람.

성전의 하역인이라고도 할 것인지?

 

'나아가 보고' 동정에 끌려서인지 또는 호기심에 끌려서였는지,

조난자에게 가까이 가서 보았습니다.

그러나 보살핌과, 입비와, 특히 동일한 위험이 자기 일신에 미칠 것을 염려하여,

제사장과 같은 모습으로 지나갔습니다.

 

'한 사마리아 사람, 여행하여 이곳에 와서,

이것을 보고 측은히 여겨, 가까이 가서,

기름과 술을 그 상처에 붓고 이것을 싸매고,

자기 나귀에 태워, 여관으로 데리고 가서 간호(간호개포)했다'(33-34일역)

 

'사마리아 사람'

 

유대인이 천시하여 마지않는 사마리아인.

그들은 평상시는 서로 교제하지 않았습니다(요한복음 4:19).

 

'여행하여 여기 와서'

 

제사장과 레위인은 예루살렘 성전에 쓰이고,

그 귀로에 왔던 것인데,

 

이 사마리아인은 특별히 종교상의 직무를 띤 것은 아니고,

다만 여행 중 우연하게도 이곳을 지나가던 것입니다.

그는 상인이었을 것으로,

사용(私用)으로 여리고에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던 여정에 있었을 것입니다.

 

'이것을 보고 측은히 여겨' 마음에 동하고. 측은한 정 생겨.

평상시의 인종적 원한을 잊어버리고.

 

'가까이 가서' 제사장과 레위인이 지나가 버린 데 반하여.

 

'기름과 술' 올리브유(Olive 기름)와 포도주. 당시 흔했던 완화제였습니다.

 

'붓고 싸매어' 약을 바르고 상처를 싸매어. 자기 나귀에 붙들어 태우고,

여관으로 데리고 가서 간호했습니다.

 

'다음날 해 돋을 때, 은 두 장을 내어, 여관 주인에게 주며,

이 사람을 간호하라 비용이 만약 더 들면,

내가 돌아올 때 당신에게 갚겠다'(35일역)

 

'은 두 장'(두 데나리온) 우리나라 오늘의 이원 남짓.

 

'내가 당신에게 갚겠다'

입비(入費)를 병인에게 청구하지 말라.

내가 그를 대신하여 당신에 갚겠다고.

실로 심절하기 그지없습니다.

'그러면 이 삼인 중,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라고 너는 생각하는가'(36일역)

 

'이 삼인' 종교가인 제사장과, 성전지기인 레위인과, 이방인인 사마리아인과.

 

'이웃이라고'로는 부족합니다. 이웃이 ''입니다.

 

예수의 교훈은 이 한마디에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역자의 불완전은 용납되기 어렵습니다.

 

이웃이란 누구인가라는 학자의 물음에 대하여,

예수는 이웃으로 된 자는 누구인가고 반문하셨습니다.

이웃집에 살고 있는 자 반드시 이웃은 아닙니다.

또 나라를 같이하고 고향을 같이하는 자 반드시 이웃은 아닙니다.

 

이웃사람이란, 자진하여 선을 행하여 되는 것이라고.

이것이 예수의 이웃의 정의였습니다.

저편에서 내게 접근하는 자는 이웃은 아닙니다.

내편에서 그에게 가까이하여, 원조를 주어,

그의 이웃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로 희태인 이웃에 대한 정의입니다.

그러나 실로 깊은 정의입니다.

 

세인은 이웃사람을 구합니다.

 

그러나 크리스천은

자기편에서 나아가 사람의 이웃으로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이 3인 중,

누가 자진하여 강도 만난 자의 이웃사람으로 되었다고 너는 생각하느냐'.

 

예수의 이 반문에 대하여, 학자는 다시 자기 무학을 느꼈을 것입니다.

 

'그가 말하기를, 그 사람을 측은히 여긴 자입니다 고.

예수 말씀하시기를, 너도 가서 그 같이 하라고'(37일역)

 

'그 사람을 측은히 여긴 자'

 

측은한 행동을 한 자. 자비 베푼 사람,

그 학자는 스스로 부끄러워서인지,

혹은 지금도 사마리아인의 이름을 입으로 하기 꺼려서인지,

 

'사마리아 사람'이라고 하지 않고서,

'그 사람에게 자비를 베푼 자'라고 에둘러서 대답했습니다.

 

그는 의론에 졌지만 자기의 편집(bias)을 버릴 수 없었습니다.

 

'너도 가서'

 

가서 너도 사람의 이웃이 되라.

이웃이 누구인지에 대해 논하지 말라.

너는 고생하는 자에게 원조를 주어 그 이웃으로 될 수 있다고.

 

세상의 학자의 생각과 예수의 생각과는 그렇듯 아주 다릅니다.

 

'무엇을 행하여 영생을 얻을 것입니까'라는 학자의 물음에 대하여,

 

예수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사람을 사랑하면서 지금부터 살라'고 대답하셨습니다.

 

'자진하여 나아가 고생하는 사람의 이웃이 되라'고 대답하셨습니다.

 

의외라고 할지,

심원이라고 할지?

경탄하는 것 외에 없습니다.

 

*내촌감삼의 (19085'성서지연구')에서